-
[심리학] 주요한 수면 장애 5가지심리학 Psychology 2023. 6. 28. 22:39
주요한 수면 장애 5가지로 불면증(insomnia), 기면발작증(narcolepsy), 수면성 무호흡(sleep apnea), 야경증(night terrors), 그리고 몽유병(sleepwalking)이 있다.
불면증(insomnia)
비록 불면증을 겪는 사람들의 정상적인 수면 욕구가 있다고 할지라도 성인 10명 가운데 1명, 그리고 노인 4명 가운데 1명 꼴로 불면증에 대해 불평한다. 불면증은 불안하거나 흥분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잠을 자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잠이 드는 것과 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지속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Irwin et al., 2006).
중년이 되면 중단되지 않고 잠을 자는 것이 좀처럼 드물어진다. 어떠한 것에 대해 지나치게 초조해하거나 약물치료가 없음에도 이따금씩 잠이 깨는 것은 일반적인 것이 된다. 그리고 몇몇 사람들은 자신들의 수면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초조해한다(Coren, 1996). 실험실 연구를 통해, 불면증에 대해 불평하는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적은 시간 동안 수면을 취하지만, 그들은 자신들이 잠에 들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리는지에 대해 일반적으로 약 2배에 가깝게 과대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면증에 대해 불면증에 대해 불평하는 사람들 가운데 거의 절반에 가까운 사람들이 자신이 실제로 얼마나 오랫동안 잠을 잤는지에 대해 과소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우리가 단지 한 시간 혹은 두 시간만 깨어 있었다고 할지라도 우리는 잠을 거의 못 잤다고 생각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우리가 기억하는 것은 깨어있었던 시간이기 때문이다.
진짜 불면증을 개선하기 위해 통속적으로 가장 빠르다고 알려진 방법은 수면제와 술이지만, 이러한 것들은 REM 수면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다음날 사람을 몸이 안 좋은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수면제의 판매량은 60%나 치솟았다(Saul, 2007). 수면제에 의존하는 사람들은 약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 더 많은 양의 수면제를 복용하지 않으면 안 될 수도 있다. 그러고 난 후에 수면제의 복용을 중단하게 되면 불면증을 더욱더 악화될 수 있다.
수면 전문가들이 제안한 불면증을 개선할 수 있는 자연적인 대안들
-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되 늦은 밤에는 피한다. (늦은 오후에 하는 것이 가장 좋다.)
- 이른 오후가 지나면 카페인이 들어간 것들은 모두 피하라. 그리고 잠자기 전에 기름진 음식들을 피하라. 대신 수면을 촉진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을 생산하기 위한 원료를 제공하는 우유 한 잔을 마시려고 노력해 보라.
- 잠자기 전에 불빛을 어둡게 해서 근육과 긴장을 이완시켜라.
- 규칙적인 수면을 취하라(설사 뜬눈으로 밤을 새웠다 할지라도 동일한 시간에 일어나라). 그리고 낮잠을 피하라. 일정을 변화시켜 가며 하룻밤 평균 7.5시간의 수면을 취했던 학생들과 일정을 변화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하룻밤 평균 7.5시간의 수면을 취하게 했던 애리조나대학교 학생들의 실험에서 볼 수 있듯이, 낮 시간대에 민첩함을 증가시켜 주는 일정에 충실하라.
- 당신이 늦게가지 잠을 못 이루어 지금이 몇 시인지 반복적으로 확인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시계를 감추어 놓아라.
- 일시적인 수면 부족은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상기하라.
- 누구든지 스트레스를 받으며 이에 잠을 못 이루고 경계하는 것은 자연적인 것이며 적응적이라는 점을 인식하라. 낮 동안의 자기만의 갈등은 종종 밤에 자다 깨다를 반복하게 된다(Akerstedt et al., 2007; Brisettet & Cohen, 2002). 당신의 스트레스 수준을 관리하는 것은 보다 편안한 수면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 만약 그 밖의 방법들이 모두 실패했다면 잠을 덜 자는 것을 받아들이고 늦게 잠자리에 들거나 아침에 일찍 기상하라.
기면발작증(narcolepsy)
기면발작증('narco'는 혼미, 마취라는 뜻이며 'lepsy'는 '발작'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주기적이고, 저항할 수 없을 정도인 극도의 졸음을 경험한다. 발작은 일반적으로 5분 미만 동안 지속되지만, 어쩌면 소프트볼에서 아주 멋지게 공을 친 직후에 발작이 발생하거나 크게 웃거나 화나서 소리를 지르거나 혹은 성관계를 할 때와 같이 때때로 가장 시기가 적절하지 않을 때 발생하기도 한다(Demet, 1978, 1999). 심한 경우에는, 짧은 REM 수면 주기에 직접적으로 진입함과 동시에 근육 긴장의 감소가 일어나면서, 사람이 맥없이 주저앉을 수도 있다.
스탠퍼드대학교의 기면발작센터(2002)에서 추정한 바에 따르면, 우리들 가운데 2,000명에 1명꼴로 기면발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면발작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아주 특별히 조심하면서 살아가야 한다. 교통사고의 가능성 때문에 "졸음은 폭음에 버금가는 것이다"라고 미국 수면장애협회는 말하였고, 기면발작을 가진 사람들은 특히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Aldrich, 1989)
수면성 무호흡(sleep apnea)
수면성 무호흡 또한 수백만의 사람들을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증가된 위험에 이르게 한다(Teran-Santos et al., 1999). 비록 우리들 가운데 20명에 1명이 이러한 장애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적인 수면 연구가 이루어지기 전까지 알려지지 않았었다. 무호흡증(apnea)은 '숨을 쉬지 않는'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병을 가진 사람들은 잠을 자는 도중에 간헐적으로 호흡이 멈춘다. 거의 공기가 통하지 않게 된 후에 줄어든 혈액 속 산소는 그들을 자극하고, 몇 초 동안 공기를 충분히 흡입하기 위하여 잠에서 깨어나게 된다. 매일 밤, 수백 번씩 반복되는 이러한 과정 때문에 그들의 서파수면이 박탈된다. 졸음, 피로, 낮 동안 화를 잘 내거나 우울함 등에 대한 불평들을 제쳐 두고라도, 수면성 무호흡으로 고생하는 사람들은 그들 배우자가 불평하는 시끄러운 '코골이' 소리에 대한 기억이 전혀 없다(Peppard et al., 2006).
수면성 무호흡은 비만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비만인 미국인들의 수가 증가하는 만큼 마찬가지로 수면성 무호흡을 가진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특히 몇몇 미식축구 선수들을 포함한 과체중이 남성들 중에서)(Keller, 2007). 밤에 코를 고는 사람들은 누구든지 낮 동안에 피곤함을 느끼며, 게다가 뇌졸중 혹은 심장마비의 위험이 높은 고혈압이 있는 사람들은 반드시 무호흡증을 검사해야만 한다(Dement, 1999). 의사는 잠을 자는 사람의 기도를 열어 주고 규칙적으로 호흡할 수 있는 공기 펌프가 장착되어 있는 마스크 같은 장치를 처방해 줄 것이다. 만약 어둠 속에서 다소 바보처럼 보이는 것에 전혀 신경 쓰지 않는 사람이라면(파자마 파티에 있는 잠수부를 상상해 보라), 이러한 처방은 수면성 무호흡과 무호흡 증상과 관련되어 있는 저하된 활동력과 기분 모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야경증(night terrors)
수면성 무호흡과 다르게 야경증을 나타내는 대상은 대부분이 어린 아이들이다. 이 아동들은 잠을 자지 않고 일어나 있고 주변을 돌아다니며 조리에 맞지 않는 말을 할 뿐만 아니라 심박수와 호흡이 배로 증가하고, 겁먹고 불안해하는 증상을 나타낸다(Hartmann, 1981). 야경증을 보이는 아이들이 증상을 보이는 동안 완전히 정신 차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다음날 아침에 거의 기억하지 못하거나 전혀 생각해 내지 못한다. 많아야 한순간의 혹은 깜짝 놀라는 영상만을 기억할 뿐이다. 야경증은 악몽과는 다르다. 악몽은 다른 꿈들과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이른 아침의 REM 수면 상태 동안에 발생한다. 하지만 야경증은 대개 수면 4단계 첫 몇 시간 동안에 발생하는 것이다.
몽유병(sleepwalking)
어린 아이들은 대부분 몽유병(또 다른 4단계 수면 장애)과 잠꼬대가 있는 경향이 있으며 이러한 것은 집안 내력이다(보통 잘 알아들을 수 없고 무의미한 잠꼬대는 수면 2단계 혹은 다른 수면 단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Mahowald & Ettinger, 1990)). 때때로 아동기 몽유병은 이러한 증상을 가진 이란성쌍둥이 가운데 약 1/3에서, 그리고 몽유병 증상을 가진 일란성쌍둥이의 절반에게서 발생한다. 이와 똑같은 결과가 잠꼬대에서 발생한 것이 사실이다(Hublin et al., 1998). 몽유병은 대개 해롭지 않고, 다음날 아침에 기억하지 못한다. 몽유병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직접 잠자리로 되돌아가거나 혹은 가족 구성원들에 의해 안내되어 잠자리로 되돌아간다. 가장 깊고 긴 4단계 수면을 보이는 어린아이들의 대부분이 야경증과 몽유병을 모두 다 경험할 가능성이 많다. 점차 나이가 들어가고 깊은 4단계 수면이 줄어들면서 야경증과 몽유병 역시 줄어들게 된다. 수면이 박탈되고 난 후에 사람들은 보다 깊게 잠을 자고, 그것이 몽유병에 대한 경향성을 다소 증가시킨다(Zadra et al., 2008).
이번 글에서는 주요 수면 장애 5가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만약 주변에 수면 장애를 겪고 있는 친구나 지인이 있다면, 수면 장애는 다양한 치료와 관리 방법이 있고 요즘에는 더 쉽게 전문가의 도움을 받을 수 있으니 상황을 너무 과대평가 하며 힘들어하지 않도록 이해와 도움을 주도록 하자.
'심리학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자폐증과 '마음맹' (0) 2023.07.01 [심리학] 진화 심리학: 인간 본성 이해하기 (0) 2023.06.29 [심리학]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와 꿈을 꾸는 이유 (0) 2023.06.28 [심리학]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와 선택적 부주의(selective inattention)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