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자폐증과 '마음맹'심리학 Psychology 2023. 7. 1. 00:39
자폐증(autism)은 개발 장애 스펙트럼에 속하는 신경 발달 장애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반복적인 패턴의 행동 및 관심사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자폐증의 진단은 증가하고 있다. 한 때 2,500명의 아이들 중 1명만이 영향을 받는다고 믿어 왔으나, 자폐증이나 또는 관련된 장애는 현재 미국 아이들 150명 중 1명 그리고 영국 런던 주변에 있는 86명의 아이들 중 1명을 괴롭히고 있을 것이다. 자폐증으로의 진단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장애' 또는 '학습장애'로 진단받는 아동들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자폐 증상의 원인
자폐 증상의 근원적인 출처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함께 일하는 뇌 영역들 간의 빈약한 의사소통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자폐증을 겪고 있는 사람들은 마음의 이론의 손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을 추론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그들은 놀이친구나 부모님이 아마도 사물을 다르게 볼 수 있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대부분 직관적으로 획득하게 되는 마음을 읽는 것(행복한 미소를 띤 얼굴은 자기만족적인 능글맞은 웃음인가? 또는 경멸적인 냉소인가?)이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에게는 어렵다.
대부분의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의 입을 삐죽 내미는 표정을 슬픔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눈을 깜빡이는 것은 행복함이나 장난을 의미한다는 것을 배운다. 자폐증을 가진 아이는 이러한 신호를 이해하는 데 실패한다.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변이: 아스퍼거 증후군
아스퍼거 증후군(Asperger syndrome)은 자폐증 스펙트럼 장애의 하나로, 높은 기능성 형태로 알려져 있다. 이 증후군은 주로 정상 지능을 가진 개인들에게서 나타나며, 특정 영역에서 뛰어난 기술과 재능을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인 기술과 의사소통 기술에는 부족함이 있어 정상적인 동료 관계 형성에 어려움을 겪는다.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종종 특정 주제나 관심사에 대한 깊은 지식과 열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해당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또, 아스퍼거 증후군 환자들은 일반적으로 집중력과 자기 규제 등의 면에서 강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사회적인 상황에서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대인 관계와 커뮤니케이션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적 기술 훈련, 대화 능력 개발, 감정 인식 교육 등의 치료나 교육적인 접근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생물학적 시각으로 보는 자폐증
심리학자인 Simon Baron-Cohen은 소녀 1명당 소년 4명이 앓는 자폐증은 극도의 남자 뇌를 나타낸다고 제안했다. 소녀들은 본래 '공감하는 사람'으로서 만들어져 왔다고 그는 주장했다. 그들은 얼굴 표정과 제스처(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에게 있어서 도전적인 과제)를 읽는 데 능숙하다. 그리고 소년들은 '체계화하는 사람'(수학적이고 기계적인 시스템으로서, 규칙이나 법에 따른 사물의 이해)이라고 그는 믿는다. Baron-Cohen은 "만약 2명의 체계자를 아이가 가지고 있다면 이것은 아이가 자폐증을 가질 위험을 증가시킬 것이다"라고 이론화했다. 동류혼인(assortative mating; 그들의 흥미를 공유하는 배우자를 찾는 사람들의 경향성) 때문에 2명의 체계자는 결국 종종 결혼하게 될 것이다. "나는 환경적인 요인을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그는 언급했다. "나는 단지 생물학을 잊지 말라고 말하는 것이다."
형제, 자매 연구와 쌍둥이 연구는 몇몇 생물학의 영향에 대한 증거를 제공한다. 자폐증을 가진 아동의 더 어린 형제들은 15%나 그 이상의 위험(자폐증에 걸릴)에 노출된다. 일란성 쌍둥이에서는 만약 쌍둥이 중 1명이 자폐증으로 진단받는다면 다른 쌍둥이가 또한 자폐증을 가지게 될 위험이 70%이다. 정자를 만드는 세포에서의 임의의 유전적인 돌연변이가 아마도 그 역할을 할지도 모른다. 남자가 나이가 들면, 이러한 돌연변이는 좀 더 빈번해지고 이것은 왜 40살 이상의 남자가 30살 이하의 남자들보다 자폐증을 가진 아이의 아버지가 될 위험이 더 높은 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유전적인 영향은 뇌의 시냅스를 바꿈으로써 손상을 입히는 것처럼 보인다.
겨울뉴런(mirror neurons)과 자폐증
자폐증에서의 생물학적 역할은 또한 뇌 기능 연구에서도 나타난다. 자폐증을 가지지 않은 사람들은 종종 다른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고 난 뒤 하품을 한다. 그리고 그들은 다른 사람들의 웃음이나 찌푸린 얼굴을 모방하고, 그들 뇌의 거울 뉴런 덕분에 다른 사람들이 느끼는 것의 어떤 것을 느낀다. 자폐증에 걸린 아이 중 다 그렇진 않지만, 이런 아이들은 덜 모방적이고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그대로 반영하는 것과 관련 있는 뇌 영역에서 훨씬 더 적은 활동을 보여준다. 예를 들면, 자폐증에 걸린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의 손 움직임을 볼 때 그들의 뇌는 정상적인 반영활동보다 더 적은 활동을 보여 준다.
이러한 발견은 거울뉴런(mirror neurons) 활동을 유발함으로써 몇몇 자폐증의 증상을 완화할지도 모르는 치료에서부터 시작되어 왔다. 예를 들어, 공감을 조직화하는 방법을 찾기 위해 Baron-Cohen과 그의 케임브리지대학의 동료들은 영국 국립자폐증협회와 영화제작 회사와 공동연구를 했다. 교통수단에 대한 TV쇼가 자폐증을 가진 아이들에게 가장 인기 있었다는 것을 알기에, 그들은 감정을 전달하는 얼굴을 장난감 전차, 기차, 그리고 트랙터 캐릭터에 이식한 일련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했다. 이 애니메이션에 노출된 아동들은 실제 상황에서 그들이 배운 새로운 감정을 일반화하는 능력을 드러냈다. 이러한 개입이 끝날 즈음에, 아동들의 실제 얼굴의 감정을 인지하는 능력은 자폐증이 없는 아동의 능력과 동등한 정도로 변화했다.
자폐증은 평생에 걸쳐 지속될 수 있고, 개별적인 치료와 교육적인 접근이 중요하다. 행동 및 의사소통 치료, 사회적 기술 훈련, 개별 교육 계획 등을 포함한 개별화된 치료 방법이 현재 많은 매체와 전문가를 통해 접할 수 있다. 중요한 점은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은 그들의 강점을 발전시키고, 이해와 지원을 통해 더 나은 삶의 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심리학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기억(memory)과 정보 처리 (0) 2023.07.02 [아동심리학] 강화와 처벌: 아이의 행동 조성하기 (0) 2023.07.01 [심리학] 진화 심리학: 인간 본성 이해하기 (0) 2023.06.29 [심리학] 주요한 수면 장애 5가지 (0) 2023.06.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