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심리학]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와 꿈을 꾸는 이유
    심리학 Psychology 2023. 6. 28. 00:42

     

    심리학에서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와 꿈을 꾸는 이유를 각각 다섯 가지로 도출되었는데, 그 이유를 살펴보자.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

     

    심리학에서 수면은 일상적인 의식 상태와 구별되는 휴식이고 복원과 회복의 과정이다. 수면은 우리의 몸을 쉬게 하고 생리적 기능을 정상화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학습과 기억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며, 정서 조절과 심리적 안정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심리학에서 도출한 수면에 관한 이론들 중에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 다섯 가지는 아래와 같다.

     

    첫째, 수면이 우리를 보호한다.

    어둠이 우리 선조들의 사냥과 음식채집을 가로막고 어둠으로 인해 이동이 위험천만하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위험한 상태에서 벗어나 동굴 안에서 잠을 자는 것이 더 나았다. 밤에 바위들과 절벽들 주변을 걸어 다니려고 하지 않는 사람은 자손을 남길 가능성이 더욱 높았다. 이는 보다 넓은 의미의 원칙과도 일치한다. 종(種)의 수면 양상은 그 종의 생태학적 지위(ecological niche)에 적합한 경향이 있다. 풀을 뜯어먹는 것이 가장 필요하지만 숨을 능력이 전혀 없는 동물들은 잠을 적게 자는 경향이 있다. 코끼리와 말은 하루에 3시간에서 4시간 정도 잠을 자며, 고릴라들은 12시간, 그리고 고양이들은 14시간을 잔다. 박쥐와 동부 다람쥐는 모두 다 약 20시간을 자며, 살기 위해서 먹고 자는 것 이외의 것들은 거의 하지 않는다(Moorcroft, 2003). 

     

    둘째, 수면은 원기를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수면은 뇌 세포를 복구하고 회복하는 것을 도와준다. 박쥐와 같이 높은 수준의 각성된 신진대사를 가진 동물들은 많은 열량을 소비할 뿐 아니라 이때 생산되는 많은 양의 활성 산소(free radical)와 미립자들은 뉴런에 치명적이다. 수면은 휴식 중인 뉴런들에게 스스로 회복할 시간을 주며 그동안에 잘 사용되지 않는 연결 관계를 약하게 만들어 준다(Siegel, 2003; Vyazovskiy et al., 2008). 

     

    셋째, 수면은 기억을 만들고 회복하기 위한 것이다.

    위의 이유들처럼 수면은 단지 우리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우리의 뇌를 회복하기 위한 것만은 아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은 기억을 만들기 위한 것(희미해지는 하루 동안 경험한 기억들을 회복하고 되찾는)이라고 밝혀졌다. 과제를 수행하는 것은 훈련받은 사람들은 몇 시간 동안 깨어 있었던 후에 기억해 내는 것보다 밤에 잠을 자거나 심지어 짧은 낮잠을 잔 후에 그것들을 더 잘 생각해 냈다(Walker & Stickgold, 2006). 그리고 사람과 쥐는 모두 뇌파가 완만한 형태로 나타나는 서파수면 동안 발생하는 신경 활성은 이전의 새로운 경험에 대한 회상을 재현하고 촉진시켜 준다(Peigneux et al., 2004; Ribeiro et al., 2004).

     

    넷째, 수면은 또한 창의적인 사고에 도움을 준다.

    때때로 꿈은 문학적, 예술적, 그리고 과학적으로 주목할 만한 업적에 영감을 주기도 한다. 예를 들어, 꿈은 화학자 August Keijule에게 벤젠(benzene)의 구조를 알아내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하였다(Ross, 2006). 우리 모두가 흔히 아는 것으로, 충분한 수면은 사고와 학습에 활력을 불어넣는다. 일을 해결하기 위해 애쓴 다음, 하룻밤 자며 신중히 생각한 사람들은 계속 깨어 있던 사람들보다 더 통찰력 있게 문제를 해결한다(Wagner et al., 2004). 또한 그들은 잠이 든 후에, 정보에 대해 다른 참신한 부분들 간의 연결관계를 보다 더 잘 구별해 낼 수 있다(Ellenbogen et al., 2007).

     

    다섯째, 수면은 성장 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숙면을 취할 때 뇌하수체는 성장 호르몬을 분비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리는 이러한 호르몬을 방출하는 양이 더 적어지고 숙면 시간이 더 적어지게 된다(Pekkanen, 1982).

     

    우리가 꿈을 꾸는 이유

     

    꿈은 수면 중에 발생하는 심리적인 경험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경험하는 현상이다. 꿈은 수면 중에 뇌의 활동과 상호작용하며 주관적인 이미지, 감정, 상황, 상상력 등의 다양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심리학적으로 꿈은 개인의 경험, 욕망, 불안, 충동 등의 내적 요소와 뇌의 활동 및 기억 처리와 관련하여 현재까지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꿈 이론가들은 우리가 왜 꿈을 꾸는지에 대한 몇 가지 이유를 제안하였다.

     

    우리 자신의 소망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다른 방법으로 받아들일 수 없는 감정들을 내보내는 꿈은 심리적인 안전막을 제공한다. Freud에 따르면, 꿈의 표출 내용(manifest content; 기억된 줄거리)은 검열되고, 꿈의 상징적 해석인 잠재 내용(latent content)은 직접적으로 표현한다면 위협적일 수도 있는 무의식적 추동(drives)과 소망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록 많은 꿈들에서 명백한 성적인 심상이 나타나지 않을지라도 Freud는 대다수의 성인들의 꿈은 "성욕을 자극하는 것에 대한 소망에 관한 분석으로 올라갈 수 있다"고 믿었다. 한 예로, 총(gun)과 같은 원통모양의 물체는 남성의 성기에 대한 표상으로 위장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하였다. 이렇게 Freud는 꿈을 우리의 내적인 갈등을 이해하기 위한 열쇠로 간주하였지만 그를 비평하는 사람들은 Freud의 꿈 이론을 반대하며 총에 관한 꿈은 총에 관한 꿈일 뿐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Freud의 꿈에 대한 소망 충족(wish-fulfillment) 이론의 대부분은 다른 이론들로 대체되었다.

     

    사라져 가는 기억들을 정리하기 위해서.

    꿈을 정보 처리(information processing)로 보는 연구자들은 꿈이 우리 기억 속에 있는 그날의 경험들을 면밀히 조사하고, 분류하고, 정리해 두는 데 도움을 준다고 믿고 있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밤에 수면을 통해 기억 응고(memory consolidation)가 발생하고 난 후에, 일반적으로 학습한 과제의 수행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을 잔다는 것은 어쩌면 기억을 하기 위한 것일지도 모른다. 학생들에게는 중요한 소식으로, 많은 학생들이 일종의 수면 폭식증(sleep bulimina; 주말에 지나치게 잠을 많이 자는)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고 연구자 Robert Stickgold(2000)는 언급했다. "만약 당신이 새로운 내용을 배운 후에 적절한 수면을 취하지 않거나 충분한 잠을 자지 않는다면 기억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고 그는 경고하였다. 이는 왜 성적이 좋은 중학교 학생들이 낮은 성적을 받는 반 친구들보다 평균적으로 25분 더 잠며 40분 먼저 일찍 잠자리에 드는지를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Wolfson & Carskadon, 1998).

     

    신경경로의 발달과 보존을 위해서

    어떤 연구자들은 꿈이 생리적 기능에 도움이 될지도 모른다고 생각한다. 어쩌면 REM 수면과 관련되어 있는 두뇌 활동은 잠자고 있는 뇌에게 주기적인 자극을 줄 수도 있을 것이다. 뇌를 자극하는 경험들은 두뇌의 신경경로들을 발달시키고 보존하는 데 기여한다. 신경망이 빠르게 발달하는 유아들은 수면시간의 많은 부분을 REM 수면에 소비한다.

     

    신경잡음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

    다른 연구자들은 꿈은 뇌간에서 위쪽으로 퍼져 나오는 신경 활성(neural activity)으로부터 분출되는 것이라고 제안하였다(Antrobus, 1991; Hobson, 2003, 2004). 활성화 종합(activation-synthesis) 이론에 따르면, 이러한 신경활성은 무작위로 발생하고 꿈은 두뇌가 이를 이해하기 위한 시도라는 것이다. 많은 신경외과 의사들은 환자의 다른 두뇌피질 영역을 자극함으로써 환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따라서 두뇌 내에서 비롯되는 자극도 있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러한 내부 자극들은 시각적인 이미지를 처리하는 두뇌 영역을 활성화시키지만 눈으로 있는 그대로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뇌의 시각피질 영역은 활성화시키지 않는다.

     

    인지 발달을 반영하기 위해서.

    몇몇 꿈을 연구는 연구자들은 Freud 학설과 활성화-종합 이론 모두에 반대하며, 그 대신에 꿈을 뇌의 성숙과 인지 발달의 일부로 이해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Domhoff, 2003; Foulkes, 1999). 예를 들어, 9세 이전 아이들의 꿈은 배우로 나오는 것과 같이 활동적인 줄거리를 가지고 있기보다는 슬라이드 쇼에 더 가깝다. 꿈은 우리가 가진 개념과 지식에 의존한다.

     

    몇몇 연구자들은 꿈이 어떠한 기능을 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된다는 것에 회의적이다. 이처럼 비록 수면 연구자들은 꿈의 기능에 대해 논쟁하고 있지만, 그들 모두가 동의하는 한 가지 사실이 있다. 그것은 바로 우리는 REM 수면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반복적으로 깨어남에 따라 REM 수면이 박탈되면, 사람들은 잠이 든 후에 점점 더 빨리 REM 수면 단계로 되돌아갈 것이다. 결국 수면을 방해하지 않은 상태로 두었을 때 그들은 말 그대로 아기처럼 잠을 잔다. 다시 말하면, REM 수면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이러한 현상을 REM 수면 반동(REMM rebound)이라 부른다. REM 수면을 억압하는 것을 없애기 위한 수면 유도제 역시 REM 수면을 증가시키지만 악몽을 동반하기도 한다. 

     

    꿈은 의식이 매혹적으로 바뀐 상태이다. 하지만 최면, 약물, 그리고 심지어는 임사 체험과 같은 다른 효과들 역시 의식적인 자각을 변경할 수도 있다.

     

     

    오늘은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와 꿈을 꾸는 이유에 대해 살펴보며 수면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글에서는 주요 수면 장애 몇 가지를 살펴볼 예정이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