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리학] 의식(consciousness)의 정의와 '이중처리(dual processing)'심리학 Psychology 2023. 6. 26. 22:23
심리학에서 의식(consciousness)이란 우리의 생각, 감각, 감정 및 외부 세계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경험을 의미한다. 정보를 인식하고, 처리하고, 이해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자신을 성찰하며 자아감을 갖는 것까지 포함한다.
심리학자들에게 의식이란,
의식은 심리학에서 많은 논쟁과 탐구의 주제가 되어 온 복잡하고 다면적인 현상이다. 모든 과학이 가진 개념들은 정의하기에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근본적이다. (예를 들어 생물학자들은 무엇이 살아 있는지에 대해서는 동의하지만, 생명(life)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동의하지 않는다.) 심리학자들에게, 의식(consciousness)은 마찬가지로 근본적이지만 설명하기 애매한 개념이다.
과학적으로 의식에 대해 연구하는 것의 어려움은 심리학의 역사에서 보다 명백하게 볼 수 있다. 심리학이 시작될 당시, 심리학은 '의식 상태에 대한 기술과 설명' (Ladd, 1887)이었다. 그러나 20세기 초반에, 그 당시 새롭게 만들어진 행동주의 학파의 심리학자들을 포함한, 다수의 심리학자들은 대신에 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관찰로 방향을 바꾸었다. 1960년대까지 심리학은 의식을 거의 벗어났고, '행동과학'으로 심리학 그 자체를 정의하였다. 의식은 자동차의 속도계에 비유되기도 한다. "그것은 자동차가 움직이도록 하지 않고, 단지 어떤 일이 발생하고 있는지를 반영할 뿐이다" (Seligman, 1991).
1960년대 이후, 정신 개념들(mental concepts)이 다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신경과학의 진보는 두뇌 활동을 수면, 꿈, 그리고 다른 정신 상태들과 관련짓는 것을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모든 학파의 심리학자들은 인지(cognition), 혹은 정신과정의 중요성에 대해 지지하였다. 심리학은 의식을 되찾았다. 오늘날 대부분의 심리학자들에게, 의식(consciousness)은 우리 스스로와 우리가 처한 환경에 대한 자각이다. 하루, 일주, 한 달의 과정 동안, 우리는 잠을 자거나 깨어 있는 상태를 포함한 여러 가지 의식 상태와 다양한 변경된 상태 사이를 오갈 것이다.
의식의 상태
정상적으로 깨어 있는 자각 상태에 덧붙여서, 의식은 공상, 수면, 명상, 그리고 약물에 의해 유발된 환각에 빠진 것을 포함한 변경된 상태로 나타난다.오늘날의 인지신경과학에 의해 밝혀진 '이중처리'
오늘날 과학에서 가장 열렬히 수행되고 있는 연구문제 가운데 하나는 의식에 대한 생물학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이다. 현재 과학자들은 "마음이란 뇌가 하는 것이다"라는 신경과학자 Marvin Minsky(1986)의 말을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몇몇 심리학자들은 의식이 진화론적인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 틀림없다고 추측한다(Barash, 2006). 아마도 의식은 우리가 우리의 장기적인 이익에 따라 행동하도록 도와줄지도 모른다(우리로 하여금 결과를 고려하고 다른 사람들의 의도를 읽는 것을 도와줌으로써). 비록 그렇다 하더라도, 이른바 '어려운 문제'를 우리에게 남겨두었다. 서로 빠르게 전달되는 뇌 세포들은 어떻게 taco타코의 맛, 치통의 고통, 그리고 공포의 느낌에 대한 우리의 자각을 야기할까?
이러한 질문들은 오늘날 특정한 뇌 상태를 의식적인 경험과 연결시키는 인지신경과학(cognitive neuroscience; 우리의 정신과정과 연결되어 있는 뇌 활동에 대한 학제 간 연구)의 핵심이다. 일부 제한된 방법이지만 당신의 뇌 활성화 형태를 토대로, 현재 신경과학자들은 당신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신경과학자들은 당신이 보고 있는 열 개의 유사한 물체들(망치, 드릴 등) 가운데 어느 것을 보고 있는지를 말할 수 있다(Shinkareva et al., 2008).
뇌의 어느 부분이 특정한 의식적 경험에 따라 활성화되는지에 대한 발견은 많은 사람들에게 압도적이지는 않았지만 상당한 흥미를 끌었다(만약 심리학적인 모든 현상들이 생물학적 현상과 동시에 발생한다면, 우리의 생각, 정서, 그리고 영성은 어쩌면 모두 통합되어져야만 할 것이다). 우리들 가운데 대다수를 자극하는 것은 말하자면, 우리가 가지고 있는 각각 자체적인 신경 장치에 의해 유지되는 두 종류의 마음에 대한 점점 늘어나는 증거들이다.
이중처리 Dual Processing
최근 인지신경과학에서의 인상적인 생각 가운데 하나는 우리의 두뇌 활동의 상당수가 무대 밖, 즉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발생한다는 것이다. 제2장 논의에서 살펴보았던 것으로, 의식적인 '좌뇌'와 보다 더 직관적인 '우뇌'는 분할 뇌 수술을 한 사람들에 의해서 밝혀졌다.
지각, 기억, 사고, 언어, 태도 이 모든 것들은 두 가지 수준에서 작동하고 있다 ⎯ 의식적이고 신중한 '하이 로드(High Road)'와 무의식적이고 자동적인 'Low Road'. 오늘날 연구자들은 이를 이중처리(dual processing)라고 부른다.
두 가지 트랙의 마음
과학적인 이야기는 마음의 두 가지 수준에 대해 설명한다. 때때로 이 이야기를 설명할 때 과학이 공상 과학 소설보다 더 이상하게 느껴지기도 한다.한 여성은 어느 날 샤워를 하는 도중에 일산화탄소에 질식됐다. 그 결과로 발생한 뇌 손상은 그녀가 시각적으로 물체를 재인하거나 구별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그러나 그녀는 오직 부분적으로만 알아볼 수 없었기 때문에, 그녀는 마치 볼 수 있는 것처럼 행동하였다. 우편엽서를 수평 혹은 수직으로 구멍이 나 있는 우편함에 살짝 밀어 넣어줄 것을 부탁하면, 그녀는 실수 없이 해낼 수 있었다. 비록 그녀 앞의 우편함의 폭을 말하는 것이 불가능했지만, 그녀는 엄지손가락 길이를 통해 그것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이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우리는 하나의 시각 체계를 가진 것이 아닌가? Goodale과 Milner는 동물연구를 통해, 우리의 눈은 다른 일을 하는 각기 다른 뇌 영역으로 동시에 정보를 보낸다는 것을 알았다. 정말로, 그녀의 두뇌 활동에 대한 정밀검사에서 물체를 잡으려고 손을 뻗거나 움켜쥐는 것과 관련된 두뇌 영역에서 정상적인 활동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의식적으로 물체를 재인하는 것과 관련된 두뇌 영역은 손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우리가 시각이라고 부르는 것이 얼마나 이상하게도 얽혀 있는지에 대해 Goodale과 Milner의 적절하게 제목이 붙여진 그들의 책, ⌜보이지 않는 시각(Sight Unseen)⌟에서 결론지었다. 우리는 우리의 시각을, 시각적으로 유도된 행동을 통제하는 하나의 체계로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그것은 사실 이중처리 체계이다. 시지각 트랙(visual perception track)은 어떤 것을 재인하고 미래의 행동을 계획하는 것과 같이 우리가 세상에 대해 생각할 수 있게 하는 정신적 지식을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시각 행동 트랙(visual action track)은 우리의 순간 순간적인 행동을 좌우한다.
드물게, 두 가지 트랙이 충돌한다. 얼굴착시 현상 가운데 하나인 'hollow face illusion'에서 볼 수 있듯이, 사람들은 얼굴 마스크의 안쪽이 튀어나온 얼굴인 것으로 잘못 지각할 것이다. 그러나 그들은 얼굴에 붙어 있는 벌레 같은 것을 털어내기 위해 주저하지 않고 정확하게 얼굴 마스크의 반대쪽으로 손을 뻗을 것이다. 그들의 마음이 모르는 것을 그들의 손은 알고 있다.
우리 일상의 생각, 느낌, 행동들의 많은 부분이 우리의 의식적인 자각 밖에서 작동한다는 이러한 중대한 생각은 "사람들에게는 받아들이기 어렵다"라고 뉴욕대학교의 심리학자 John Bargh와 Tanya Chartrand 등(1999)이 말했다. 우리는 당연하게도 우리 스스로의 의도와 신중한 결정이 우리의 삶을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믿고 있는 편견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의식은 우리로 하여금 자발적인 통제력을 발휘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우리의 정신상태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다. 하지만 무의식에서는 보다 훨씬 더 인간적이다. 내면에서는 무의식적인 정보 처리 과정이 많은 병렬적인 트랙에서 동시에 발생한다.
무의식적 병렬처리 과정과 순차적 의식 처리 과정
무의식적 병렬처리 과정(unconscious parallel processing)은 새로운 도전을 처리하는 우리의 의식적인 마음을 자유롭게 만들어 준다. 익숙한 길을 자동차로 여행하는 경우에, 우리의 마음이 다가올 일을 되뇌면서도 손과 발은 운전을 하고 있다.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조종사는 자동적으로 일상적 업무를 처리하는 동안 우리의 의식(마음의 CEO)은 전체 시스템을 감시하고 문제에 대해 반응할 수 있도록 해준다.
순차적 의식 처리 과정(serial conscious processing)은 비록 병렬처리 과정보다는 느리지만 우리의 집중된 주의를 필요로 하는 새로운 문제들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만약 당신이 오른손잡이라면, 당신은 당신의 오른 발을 반시계 방향으로 순조롭게 원을 그릴 수 있다. 그리고 당신은 당신의 오른손으로 숫자 3을 반복해서 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마도 이를 동시에 할 수는 없을 것이다(만약 당신이 음악적 성향이 있다면, 이와 동일한 정도로 어려운 것을 시도해 보라. 오른손으로는 네 번을 두드리는 동안, 동시에 왼손으로 세 번을 꾸준한 박자로 두들겨 보라.) 이 두 가지 과제 모두는 한 번에 한 곳에만 둘 수 있는 주의를 필요로 한다.
마무리하며
이중처리는 인지심리학, 사회심리학, 행동경제학 등 심리학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왔다. 인지 편향, 암묵적인 사회적 판단, 의사 결정에 대한 감정의 영향과 같은 현상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직관적인 시스템과 합리적인 시스템, 이 두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것은 인간의 행동과 인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의식적, 무의식적 처리과정의 영향을 연구함으로써 심리학자 등의 연구자들은 의사결정, 문제 해결 및 사회적 상호작용의 복잡성에 대한 통찰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심리학 Psycholog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우리가 잠을 자는 이유와 꿈을 꾸는 이유 (0) 2023.06.28 [심리학] 선택적 주의(selective attention)와 선택적 부주의(selective inattention) (0) 2023.06.28 [심리학] 왜 심리학을 공부해야 할까? (0) 2023.06.25 [심리학]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의 근원으로 보는 심리학의 정의. (0) 2023.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