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Psychology
-
[심리학] 스트레스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심리학 Psychology 2023. 7. 5. 01:53
스트레스가 기억에 미치는 영향을 아는가? 스트레스는 우리의 기억에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심한 스트레스는 기억을 마비시킨다. 올해 2023년에 발생한 튀르키예 대지진과 같이 엄청난 스트레스를 주는 사건들은 그것을 경험한 사람들에게 지워지지 않는 기억의 일부가 된다. 스트레스 호르몬과 기억 각성은 뇌 속의 어떤 사건들을 마비시킬 수 있다. 거의 동시에 중립적인 사건에 대한 기억도 방해한다. 우리가 흥분하거나 스트레스를 받을 때, 정서로 인해 촉발된 스트레스 호르몬은 뇌 활동을 위한 연료로 활용되는 포도당 에너지를 더 많이 만들어 낸다. 이는 뇌에 어떤 중요한 사건이 발생했음을 신호하는 것이다. 더구나 변연계의 두 가지 정서처리군인 편도체는 뇌의 기억 형성 영역의 호라동과 가용 단백질 생성을 증가시킨다(Bu..
-
[심리학] 기억의 핵심: 저장심리학 Psychology 2023. 7. 5. 01:27
기억의 핵심은 저장이다. 우리는 만약 경험한 것들을 나중에 회상하려 한다면, 어찌되었든 그것을 저장한 후 인출해야 한다. 장기기억에 저장된 것들은 동면하고 있다가 단서에 의해 다시 깨기를 기다린다. 이전 글에서 우리는 어떤 외적 사건에 있어서 정보를 뇌에 부호화하여 뇌에 입력시켜 감각기억, 단기기억, 장기기억 순서로 저장된다고 말했다. 각각의 기억 저장에 대해 살펴보자. 감각기억 - 영사기억과 잔향기억 감각기억은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기억 연구자인 George Sperling(1960)은 사람들에게 1/20초 동안 각각 세 개의 낱자로 구성된 세 개의 열(아래 참고)을 보여 주고 회상하도록 요청하였다. 아홉 개의 낱자들이 사라진 후, 사람들은 단지 절반 정보만을 회상할 수 있었다. K Z R Q B..
-
[심리학] 우리는 어떤 식으로 정보를 입력하는가 - 자동적 처리와 의도적 처리심리학 Psychology 2023. 7. 3. 02:13
우리는 어떤 정보를 자동적으로 부호화하며, 또 어떤 정보를 노력을 들여(의도적으로) 부호화할까? 지난 학기 동안 강의실까지 가는 길과 같은 어떤 정보는 매우 쉽게 처리되어, 기억체계로 하여금 덜 친숙한 다른 사건들에 초점을 맞출 수 있도록 해 준다. 하지만 친구의 새 전화번호와 같은 새로운 정보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주의를 주는 것은 물론 노력을 들일 필요가 있다. 둘은 어떤 차이가 있는 걸까? 자동적 처리 자동적 처리는 공간, 시간, 빈도, 단어의 의미와 같이 잘 학습된 정보 같은 우연 정보의 무의식적 부호화를 말한다. 동시적 활동(병렬적 처리를 위한), 즉 의식적으로 주의를 주지 않아도 엄청난 양의 다중과제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뇌의 용량에 감사해야 한다. 예를 들어, 의식적인 노력이 없이도 다음과..
-
[심리학] 기억(memory)과 정보 처리심리학 Psychology 2023. 7. 2. 02:22
기억의 역할은 실로 엄청나다. 심리학자에게 있어 기억(memory)이란 시간이 지나도 지속되는 학습, 즉 저장되고 인출될 수 있는 정보이다. 대체로 당신이란 존재는 당신이 기억하고 있는 전부이다. 축적된 학습의 저장고인 기억이 없다면 과거의 환희를 맛볼 수 없고, 죄책감도 없을 것이며 고통스러운 기억에 대해 분노도 느끼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우리는 매 순간 새로운 영원한 현재 속에서 살아가게 될 것이다. 기억 연구자인 James McGaugh(2003)는 "만약 우리가 과거 기억의 회상 능력을 상실한다면, 우리의 인생은 없는 것이나 다름없다. 그렇다면 우리가 순무나 양배추보다 더 나을 것도 없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기억 현상 앞에서 기억이란 정보의 저장과 인출을 통해 시간이 경과하면서 보이는 학습의 ..
-
[아동심리학] 강화와 처벌: 아이의 행동 조성하기심리학 Psychology 2023. 7. 1. 01:11
강화(reinforcement)와 처벌(punishment)은 심리학에서 행동을 조성하고 조절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된다. 강화는 행동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두 가지 기본 유형이 있다.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와 부적 강화(negative reinforcement)인데, 부적 강화를 처벌과 헷갈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부적 강화는 오히려 처벌(혐오) 사건을 제거시킨다는 점에서 이미 둘은 다르다. 각각의 개념들이 무엇이고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자. 강화와 처벌 개념의 정의 강화물(reinforcer): 행동이나 반응을 강화, 혹은 그 빈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어떤 사건 정적 강화(positive reinforcement): 음식과 같은 정적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행동을 증가시키는 것...
-
[심리학] 자폐증과 '마음맹'심리학 Psychology 2023. 7. 1. 00:39
자폐증(autism)은 개발 장애 스펙트럼에 속하는 신경 발달 장애로, 사회적 상호작용, 언어 및 의사소통, 반복적인 패턴의 행동 및 관심사에 심각한 장애가 나타나는 상태를 말한다. 자폐증의 진단은 증가하고 있다. 한 때 2,500명의 아이들 중 1명만이 영향을 받는다고 믿어 왔으나, 자폐증이나 또는 관련된 장애는 현재 미국 아이들 150명 중 1명 그리고 영국 런던 주변에 있는 86명의 아이들 중 1명을 괴롭히고 있을 것이다. 자폐증으로의 진단이 증가함에 따라 '인지장애' 또는 '학습장애'로 진단받는 아동들의 수는 감소하고 있다 자폐 증상의 원인 자폐 증상의 근원적인 출처는 우리가 다른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정상적으로 함께 일하는 뇌 영역들 간의 빈약한 의사소통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
-
[심리학] 진화 심리학: 인간 본성 이해하기심리학 Psychology 2023. 6. 29. 23:42
진화 심리학은 자연선택의 원칙을 사용하여, 행동과 정신적인 과정의 기원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자연선택이란 유전된 특질 변이의 범위 중에서 번식과 생존을 증가시키는 것들이 다음 세대로 전달될 경향이 더 많다는 원리이다. 진화 심리학 행동 유전학자들은 인간의 차이점에 대한 유전적∙환경적 뿌리들을 연구하는 반면 진화 심리학자(evolutionary psychologists)는 대개 무엇이 우리를 더 인간과 유사하게 하는가에 초점을 맞춘다. 그들은 Charles Dawrin의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의 원리를 행동과 정신과정의 뿌리를 이용하는 데 사용한다. Richard Dawkins(2007)는 자연선택을 '인간의 정신에서 발생한 가장 중대한 아이디어'라고 불렀고 그 아이디어는 간..
-
[심리학] 주요한 수면 장애 5가지심리학 Psychology 2023. 6. 28. 22:39
주요한 수면 장애 5가지로 불면증(insomnia), 기면발작증(narcolepsy), 수면성 무호흡(sleep apnea), 야경증(night terrors), 그리고 몽유병(sleepwalking)이 있다. 불면증(insomnia) 비록 불면증을 겪는 사람들의 정상적인 수면 욕구가 있다고 할지라도 성인 10명 가운데 1명, 그리고 노인 4명 가운데 1명 꼴로 불면증에 대해 불평한다. 불면증은 불안하거나 흥분되었을 때 일시적으로 잠을 자는 것이 불가능한 것이 아니라, 잠이 드는 것과 수면 상태를 유지하는 데 있어서 지속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는 것을 말한다(Irwin et al., 2006). 중년이 되면 중단되지 않고 잠을 자는 것이 좀처럼 드물어진다. 어떠한 것에 대해 지나치게 초조해하거나 약물치료가..